**상이용사인 아들의 친구 **
- 미국 샌디에이고 교외의 큰 저택에 한 통의
전화가 걸려왔습니다.
" 엄마, 저에요, 저 전쟁터에서 지금 돌아왔어요."
전화 저편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는
돌아오기만을 빌어온 어머니는
아들의 이름을 부르며 울음을 터뜨렸습니다.
" 어머니, 울지 마세요. 전 괜찮아요.
그런데 엄마, 친구 하나를 데리고 왔어요.
그 친구는 몹시 다쳤어요.
하지만 딱하게도 갈 집이 없어요.
그래서 우리와 함께 살았으면 좋겠어요."
그동안 소식이 없던 아들이 무사히 돌아왔다는 사실에
어머니는 눈물을 훔치며 말했습니다.
" 오냐, 그래라. 우리와 당분간 같이 살자꾸나.
지금 어디 있니?.
빨리 오거라"
하지만 아들은 어머니의 당분간이란 말을 듣고
"그 친구와 떨어질 수 없다"며 "늘 함께 살겠다"고 말했습니다.
아들의 억지에 못 이긴 어머니는 할 수 없이
한 1년쯤 함께 살자고 말했습니다.
그러자 아들은 절망적인 목소리로 말했습니다.
" 엄마, 나는 그 친구와 영원히 함께 살고 싶어요.
그 친구는 몹시 불쌍한 친구에요.
외눈에, 외팔에, 다리도 하나밖에 없다구요."
몇 년만의 통화였지만 성급한 어머니는 그 말을 듣자
아들이 빨리 보고싶은 나머지
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벌컥 화를 내며 말했습니다.
"얘야, 너는 너무 감상적이구나.
넌 지금 전쟁터에서 돌아왔어.
그 친구는 결국 너의 짐이 되고 말 게다."
" 짐이 된다구요? "
아들은 어머니가 채 말을 잇기도 전에 전화를 끊어 버렸습니다.
애타는 마음으로 아들의 소식을 기다렸지만
하루, 이틀이 지나도 돌아온다던 아들도 오지 않고
전화연락도 오지 않았습니다.
그러던 어느 날 해군본부에서 전보 한 장이 날아들었습니다.
그것은 아들이 "샌디에이고 호텔 12층에서 뛰어내려 자살했다"는
내용이었습니다.
집으로 아들의 시체가 운구되어 오던 날,
어머니는 그만 깜짝 놀라 쓰러지고 말았습니다.
그 시신이 바로 외눈에, 외팔에, 외다리였던 것입니다.
밤낮을 가리지 않고 아들이 제발 살아서
- - 직산읍 감리교회 카페 중애서 한정호 제공-
"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
마음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." (잠언 14:29)
'요정들의 쉼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관우의 꽃밭에서 (3) | 2010.01.18 |
---|---|
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(0) | 2009.09.19 |
댓글